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K패스: 알뜰교통카드 (2025년 바뀐 정책 포함)

1.K패스란?

K-패스는 대중교통 이용자들에게 교통비 절감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.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최대 60회까지 이용 금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 환급률은 일반 이용자 20%, 청년층(만 19세~34세) 30%, 저소득층 53%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
 

 

2. K-패스 카드 신청 방법

 

K-패스 카드는 다양한 금융기관을 통해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현대카드, 국민카드, 농협카드 등에서 K-패스 기능이 포함된 카드를 제공하며, 각 카드의 혜택과 연회비는 상이하므로 개인의 소비 패턴에 맞는 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또한, 네이버페이와 같은 모바일 플랫폼에서도 K-패스 기능을 제공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3. K-패스와 티머니 카드 비교

K-패스와 티머니 카드는 모두 대중교통 이용 시 혜택을 제공하지만, 그 방식과 혜택에는 차이가 있습니다. 아래 표는 두 카드의 주요 특징을 비교한 것입니다.

 

구분 K-패스 티머니 기후동행 카드
혜택 방식 월 이용 횟수에 따른 환급 이용시  즉시 할인
환급/할인율 일반:20%, 청년:30%, 저소득층:53% 30일권(따릉이 포함, 미포함) 단기권등 구매하고 30일 동안 무제한 사용 가능
적용대상 전국 모든 대중교통(버스, 지하철 등) 서울시의 모든 대중 교통(버스, 지하철등)
특징 월 15회 이상 이용시 혜택적용 한달동안 무제한 대중 교통 이용가능(따릉이 이용 가능)
 

티머니 카드는  한달동안 일정금액을 충전해놓고 횟수제한 없이 사용하여 혜택을 받는 것으로 월  교통수단 이용 횟수가 많은 사람이 사용하기 좋습니다.

반면, K-패스는 월 이용 횟수에 따라 환급이 이루어지며, 환급률은 이용자의 조건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. 다만 티머니와 다르게 전국에서 사용가능합니다.

 

4. 바뀐 K패스 정책

 1일 최대 적립횟수가 2회로 제한됩니다.

 다자녀를 둔 부모는 2자녀 30%, 3자녀 이상 50%로 환급혜택이 향상됩니다.